티스토리 뷰
목차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 비상약을 챙기는 일은 당연한 준비처럼 여겨집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문제없는 약도 해외에서는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공항에서 가방이 열리고, 약 하나 때문에 입국이 거부된 사례도 존재합니다. 실제로 한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약이 마약류나 향정신성 약물로 분류되는 나라도 있습니다.
한국에선 괜찮아도, 해외에선 불법일 수 있다
- 일본은 감기약, 기침약 성분 중 하나인 ‘슈도에페드린’에 매우 민감합니다. 이는 ‘판콜에이’, ‘콜대원’ 등 국내 감기약에 흔히 포함된 성분입니다.
- 아랍에미리트(UAE)는 더 엄격합니다. 진정제, 수면제, 근육이완제, 정신과 약물 등은 의사 진단서 없이 반입할 경우 불법입니다.
- 두바이 공항에서는 이로 인해 구속된 사례도 있습니다. 복용 목적과 상관없이, 성분 자체가 문제 될 수 있는 국가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영문 처방전 없이는 합법 약도 위험하다
많은 나라에서는 약물 반입을 금지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영문 처방전’ 또는 ‘진단서’ 동반입니다.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은 향정신성 약물이나 진통제 반입 시 복용 이유와 성분이 명확히 명시된 문서가 필요합니다.
특히 1개월 이상 사용할 분량이라면 더 까다롭습니다. 수면제, 신경안정제, 생리통 진통제 등을 휴대할 경우, 병원에서 미리 영문 문서로 증명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몰랐다”는 이유로 면책되지 않는다
약물 소지가 공항에서 적발되면 단순 압수에 그치지 않습니다. 벌금, 출국 정지, 기소, 불이익 기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지 법률을 모른다는 이유로 처벌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실제로 일본, 태국, UAE는 여행자에게도 예외 없이 강하게 대응합니다.
해외 체류 기록에 불이익이 남을 수 있고, 여행 일정 전체가 무산될 수도 있습니다. 법은 여행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국가마다 금지 약물 성분이 다르다
각 나라마다 반입 제한 성분은 다릅니다. 같은 약도 어느 나라인지에 따라 규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 일본: 슈도에페드린, 코데인, 덱스트로메토르판 등 감기약·기침약 성분
- UAE: 향정신성 진통제, 수면제, 호르몬제, 다이어트약
- 태국: 일부 항히스타민제, 마약성 진통제
- 말레이시아: 항생제도 제한 품목
- 중국·인도·인도네시아: 약이 포장 그대로이거나 과다하면 문제
약국 포장 그대로 가져가기보다는 복용량만큼 소분하고, 성분 및 복용 목적을 간단한 메모로 동봉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약도 법 안에서 준비해야 한다
비상약은 여행자의 필수품입니다. 하지만 그 익숙함이 가장 위험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아무렇지 않게 먹는 약이 해외에선 반입 불가 품목일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출국 전에
-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 대사관 안내 등을 통해
해당 국가의 반입금지 의약품을 확인해야 합니다.
불확실한 경우엔 약국이나 병원에 성분을 문의하고, 필요 시 영문 진단서 또는 성분표를 받아두세요.
해외여행의 안전은 건강뿐 아니라 법적 위험까지 대비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비상약 파우치를 챙기기 전, “이 약이 그 나라에서는 괜찮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합니다.